본문 바로가기
일상글모음

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 - 데이터 분석 기법 비교와 활용 방법

by vorigugu 2024. 6. 25.

1. 상관 분석의 개념

 

Correlation

 

  • 상관 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통계적 방법으로, 상관 계수를 통해 두 변수 간의 선형적 관계 정도를 측정한다.
  • 상관 계수의 범위는 -1부터 1까지이며, -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,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이 강하다고 판단한다.
  • 상관 분석은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고, 단순히 두 변수 간의 관련성만을 나타낸다.

 

 

2. 상관 분석의 장단점

 

 

  • 장점: 데이터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변수 간 영향력을 분석할 수 있음
  • 장점: 시각적으로 상관 관계를 파악하기 쉬움
  • 장점: 연구 초기 단계에서 변수 간 관계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
  • 단점: 인과 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없음
  • 단점: 변수 간 관계가 다른 요인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
  • 단점: 대상이 되는 변수들 간 상관성이 없을 수도 있음

 

 

3. 회귀 분석의 개념

 

 

  • 회귀 분석은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이야.
  • 회귀 분석을 통해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어.
  • 회귀 분석은 주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변수 사이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돼.
  • 회귀 분석은 선형 회귀와 비선형 회귀로 나뉘며,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정들을 검토해야 해.

 

 

4. 회귀 분석의 장단점

 

 

  • 회귀 분석의 장점
    • 예측력: 회귀 분석은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래 값을 예측하는 데 효과적이다.
    • 인과 관계 탐색: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탐구할 수 있다.
    • 변수 중요도 파악: 어떤 변수가 종속 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.
    • 모델 해석 가능성: 회귀 모델은 비교적 해석하기 쉽고 결과를 설명하기 용이하다.
    • 다양한 종류의 회귀 모델: 다중 회귀, 로지스틱 회귀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하여 다양한 문제에 적용 가능하다.
  • 회귀 분석의 단점
    • 가정 위배: 회귀 분석은 여러 가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위배하면 잘못된 결과를 낼 수 있다.
    • 과적합 가능성: 변수가 많거나 관측 데이터 수가 부족할 경우 모델이 과적합되어 일반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.
    • 이상치 영향: 이상치가 존재하면 회귀 분석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.

 

 

5.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의 비교

 

Regression

 

  • 목적: 상관 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고, 회귀 분석은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.
  • 변수의 개수: 상관 분석은 두 변수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지만, 회귀 분석은 한 개 이상의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.
  • 결과 해석: 상관 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상관 계수를 통해 이를 표현하지만, 회귀 분석은 독립 변수의 변화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정도와 방향을 파악한다.
  • 예측 성능: 상관 분석은 예측을 위한 모델을 제공하지 않지만, 회귀 분석은 독립 변수를 기반으로 종속 변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공한다.
  • 활용 방법: 상관 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시각화할 때 유용하며, 회귀 분석은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할 때 유용하다.

 

 

6. 데이터 분석에서의 상관 분석 활용 방법

 

 

  • 데이터 정제: 상관 분석 이전에 데이터를 정제하여 이상치나 결측치를 제거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.
  • 상관 관계 확인: 변수 간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어떤 변수가 서로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시각화하여 보여줍니다.
  • 상관 계수 해석: 상관 계수 값의 의미를 파악하여 두 변수 간의 관계가 얼마나 강한지, 양의 상관인지 음의 상관인지를 이해해야 합니다.
  • 신뢰성 검증: 상관 분석 결과가 신뢰성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고 다른 방법으로 재확인합니다.
  • 상관 분석의 한계: 상관 분석은 인과 관계를 설명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하며,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7. 데이터 분석에서의 회귀 분석 활용 방법

 

 

  • 데이터 분석 목적 설정: 회귀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숨겨진 경향성을 파악하고, 해당 정보를 활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독립 변수 선정: 모델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올바른 독립 변수를 선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해야 합니다.
  • 회귀 모델 구축: 선택한 독립 변수들과 종속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회귀 모델을 구축하고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합니다.
  • 모델 해석: 회귀 모델을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, 변수들 간 상관성 및 영향력을 해석하여 인사이트를 얻습니다.
  • 모델 평가: 모델의 예측력과 설명력을 평가하며, 필요에 따라 모델을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더 나은 결과를 얻습니다.